
Purpose
삼육대학교 건설기술및관리연구소에 방문하신걸 환영합니다. 건설기술및관리연구소는 더나은 안전한 세상 을 만들고자 노력한 연구원들의 손자국을 기록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Our research focuses on
일반적으로 건설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가장 처음 떠올리는 단어가 "시공"일 것이다. 시공 施工 Construction 은 공사를 시행한다는 말이지만 이 뜻은 너무 광범위하고 건설현장에서는 발주처 또는 설계사로부터 받은 도면을 기준으로 현장에 물건을 설치, 만드는 것을 일컫는다. 그 도면에는 아주 많은 함축된 약어, 기호, 도형, 선 등 약속이 있고 그 약속은 국제표준 또는 국내표준으로 정해 놓여 있다. 사실 시공을 신입때 부터 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했지만 도면에 표기된 Standard 사항을 모르고 현장에 투입되기에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는 신입 사원 생활을 보내게 된다. 다 나보다 잘 아는 감리사, 발주처 감독관, 협력업체 직원들 앞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신삥이 아는 채 하려니 굼뱅이 앞에 주름 잡고 있는 모습이고, 그래서 매일 맨땅에 헤딩하고 있어야 하는 건설현장의 신입 기사들의 애환은 정말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그렇다고 선배들은 잘 가르쳐 주지 않는 것도 현실이다. 그 선배들을 탓할 수 없는 것도 워낙 바쁘고 할일이 많다보니 알려주고 싶어도 잘 알려 줄 수가 없다. 시공은 항상 시간에 쫓기기 때문에 말이다. 대부분 제시간에 내 것 끝내기에도 시간이 모자르다.
인공지능(人工智能) 또는 AI(영어: artificial intelligence, AI)는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 과학의 세부분야 중 하나이다. 정보공학 분야에 있어 하나의 인프라 기술이기도 하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갖고 있는 지능 즉, natural intelligence와는 다른 개념이다.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시연(구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컴퓨터에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용어는 또한 그와 같은 지능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과학 기술 분야를 지칭하기도 한다.
사전에서는 뜻밖의 불행한 일, 액화(厄禍), 화해(禍害)라고 말하며, 학문적으로는 다양한 이론이 나타나고 있다. 災難(disaster)이라는 용어는 원래 별의 불길한 모습을 상징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하늘로부터 비롯된 인간의 통제가 불가능한 해로운 영향으로 풀이한다. 재난(disaster)의 어원을 분석하면, dis는 어원상 분리, 파괴, 불일치의 뜻이며, aster는 라틴어로 astrum 또는 star라는 것을 의미한다.과거의 재난(Disaster)은 홍수, 지진과 같은 대규모의 천재인 자연 재난를 지칭하는 것이었으나, 현대사회에 들어와서는 대규모의 인위적 사고의 결과가 자연재난를 능가함에 따라 "Disaster"는 자연 재난와 사회재난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재난(Disaster)은 일반적으로 중앙과 지방정부의 일상적인 절차나 지원을 통하여 관리될 수 없는 심각한 대규모의 사망자, 부상자, 재산 손실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통 예측 가능성이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Disaster"를 사회재난·자연재난(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자연재해대책법), 민방위사태(민방위기본법)의 3원적 개념으로 분리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청(FEMA)의「災難」개념 : 통상적으로 사망과 상해, 재산피해를 가져오고 일상적인 절차나 정부의 자원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심각하고 규모가 큰 사건으로, 보통 돌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정부와 민간조직이 인간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복구를 신속하게 하고자 할 때 즉각적, 체계적, 효과적인 대처를 하여야 하는 사건